유형별 비타민D 하루 권장량은? 청소년, 임신부, 당뇨전단계, 성인 총 정리!

2025. 2. 17. 06:30영양제

☀️
비타민D 보충제로 복용해야할까?
누가, 얼마나 먹어야할까?
☀️

비타민D 역할은?

  • 비타민D는 뼈 건강에 중요한 체내 칼슘 흡수와 면역 기능을 촉진하는 영양소다. 낮은 비타민D 수치는 골다공증 위험을 높일 뿐 아니라 대사성 질환, 심혈관 질환, 자가면역 질환 및 코로나19를 포함한 감염성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.
  • 치매, 심장마비 및 특정 유형의 암 위험을 낮출 수 있음
  • 비타민D는 비타민 D2와 D3의 두 가지 형태로 존재하는데, 비타민 D2는 버섯과 같은 식물성 식품을 통해 보충할 수 있다. 비타민 D3는 계란, 치즈 등 동물성 식품을 섭취하거나 자연 햇빛을 통해 흡수할 수 있다. 

 

과잉 섭취 시 이점?

75세 미만의 건강한 성인은 과잉 섭취해도 이득을 얻을 수 없지만 일부 사람들은 매일 권장량인 600~800IU 이상을 섭취하면 특정 건강 상태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다. 패널 의장인 하버드의대 및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마리 드메이 박사는 “고용량 비타민 D 보충제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은 75세 이상, 임산부, 당뇨병 전증이 있는 성인, 18세 이하의 어린이와 청소년이다

 

성인은?

  • 한국인 비타민 D 충분섭취량은 하루 10μg(12~64 남녀, 보건복지부): 10(12~64살)~15(65살 이상)μg - 시중의 영양제에 표기된 국제단위(IU) 기준으로는 400~600IU(1μg=40IU)
  • 미국의 경우엔 1~70살까지는 15μg, 70살 초과자는 20μg을 권장량으로 삼고 있다.
  • 75살 이상 성인은 일일 권장량 이상으로 섭취할 경우 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다.
  • 당뇨병 전단계인 사람에겐 당뇨병으로 진행되는 걸 막아주는 효과 (임상시험 참가자의 비타민 D 복용량은 842~7543IU였으며, 하루 평균 복용량은 약 3500IU였다.)
  • 건강한 성인 기준, 적정 혈중 비타민D 농도는 30ng/mL 이상 100ng/mL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. 이를 유지하기 위한 비타민 D의 하루 적정 섭취 용량은 400~800 IU이다.
  • 결핍이 있는 경우엔 1000~5000 IU까지 권장된다.

 

임신부는?

  • 임신부는 유산이나 조산, 저체중아 출산, 신생아 사망 위험을 줄일 수 있다. 
  • 자간전증 및 조산과 같은 임신 합병증의 위험을 줄일 수 있다. (임산부를 대상으로 한 실험에서 비타민 D 복용량이 하루 600~5000IU 범위이며 하루 평균 복용량이 약 2500IU라는 사실을 발견했다)

미성년은?

  • 18살 이하 어린이와 청소년은 뼈의 변형이 생기는 구루병을 예방하고 호흡기 감염 위험 감소

 

과다섭취 시 부작용은?

  • 비타민D는 물이 아닌 지방에 녹는 지용성이어서 필요량보다 많이 섭취하면 그대로 몸속에 쌓일 수 있다. 그렇게 되면 혈중 칼슘 농도가 높아져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.
  • 비타민D를 과다 섭취할 경우 혈중 칼슘 농도가 높아져 메스꺼움이나 신장 손상, 심장 문제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.
  • 체내 비타민D 농도가 너무 짙으면, 식욕 부진과 설사, 구역, 구토, 고칼슘혈증 등 부작용을 유발할 수 있다. 비타민D는 땀이나 소변으로 쉽게 배출되지 않기 때문에 적당량만 섭취하는 게 중요하다.

섭취 전!

비타민 D 섭취를 결정하기 전엔 현재 비타민 D 혈중 농도 확인이 필요하다. 현재 상태를 확인하고 나서 적정 용량을 섭취해야 건강을 지킬 수 있다.

 

 

 


https://www.hani.co.kr/arti/science/science_general/1148822.html

 

“75살 이상 고령, 비타민D 일일 권장량 이상 섭취 권고”

비타민D는 뼈 건강에 중요한 체내 칼슘 흡수와 면역 기능을 촉진하는 영양소다. 낮은 비타민D 수치는 골다공증 위험을 높일 뿐 아니라 대사성 질환, 심혈관 질환, 자가면역 질환 및 코로나19를 포

www.hani.co.kr

https://kormedi.com/1695187/

 

임산부와 청소년, 비타민 D 하루 권장량보다 더 많이 섭취해야 - 코메디닷컴

햇빛 비타민이라고도 불리는 비타민 D는 햇빛 노출, 음식 및 보충제를 통해 얻은 지용성 비타민이다.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 D 보충제는 치매, 심장마비 및 특정 유형의 암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것

kormedi.com

https://m.health.chosun.com/svc/news_view.html?contid=2022042801947

 

부족해도 과해도 병 되는 비타민 D, 적정량은?

기타 부족해도 과해도 병 되는 비타민 D, 적정량은?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/04/28 21:00 코로나19 발병, 중증화 위험에 비타민 D 결핍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일부 연구가 발표되면서 비타민 D

m.health.chosun.com

https://kormedi.com/1348425/

 

부작용 무서워 비타민D 안 먹는다고? - 코메디닷컴

최근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세계적으로 영양 보충제의 사용이 증가하며 지용성 비타민, 특히 비타민D의 과량 복용에 대한 걱정과 우려 또한 높아지고 있다.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타민D를 권장

kormedi.com

https://kormedi.com/1608631/

 

'비타민D 과신하다'... 독성 때문에 입원까지? - 코메디닷컴

미국 건강포털 '더헬시(Thehealthy)’는 중년 남성이 비타민D 보충제를 너무 많이 복용해 각종 부작용으로 병원에 3개월 동안 입원한 적이 있는 사례를 들어 ‘비타민D 과다증’ 위험에 대한 주의를

kormedi.com

https://www.rda.go.kr/board/board.do?mode=view&prgId=day_farmprmninfoEntry&dataNo=100000746735

 

[보도자료]하루 비타민 D ‘달걀 한 개’면 충분

- 농촌진흥청, '국가표준식품성분표' 자료틀[DB] 축적 정보 제공 -농촌진흥청(청장 라승용)은 60g(달걀 한 개 정도)의 달걀과 연어, 청어 등 동물성 식품을 먹으면 1일 비타민 D 필요량을 100% 충족할

www.rda.go.kr